"암환자 별도기금, 신약 접근성 향상 방책"
강진형 교수, 영국·캐나다 사례들어 국내 도입 필요성 주장
암으로 인한 국가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런 부담에 대해선 항암신약이 대안을 제시할 것으로 평가됐다. 다만, 한국은 신약 도입 및 접근성 측면에서 여전히 부족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다방면에서 개선점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국처럼 암 환자를 위한 별도 기금을 도입하는 방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울성모병원 강진형 교수는 17일 암환자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정책토론회(이종성 의원실 주최)에서 혁신신약의 유효성과 가치에 대해 설명했다.
강 교수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국내 암 발생률은 매년 8% 증가했다. 한 해 신규 발생 환자는 23만명에 이르며, 이는 경기도 하남시 인구와 맞먹는 수준이다. 현재 국내 40~80세 이상 연령대의 주요 사망원인 1위 역시 악성신생물(암)이 차지하고 있다.
암에 대한 부담은 인구고령화와 맞물려 더 가중되고 있다. 한국은 전체 인구에서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지속 늘어나는 추세다. 2045년께 전체 인구 중 고령자의 비율은 37%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강 교수는 이런 상황에 대한 해결책으로 항암신약을 지목했다. 면역항암제의 경우 특정 암종에 대해 사망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두드러졌다는 평가다. 일례로 면역항암제와 세포독성항암제 병용치료는 비소세포폐암에서 사망률을 44% 감소시키는 효과를 증명하기도 했다.
아울러 면역항암제는 기존치료 대비 부작용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 환자 삶의 질 개선 측면에서 우수한 대안이라는 사실 역시 확인됐다. 이런 효능과 혜택을 췌장암·간암·식도암 등 발생빈도가 낮은 암종에서도 발휘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 받아야 한다고 강 교수는 설명했다.
하지만 한국은 혁신신약의 도입 및 접근성에서 주요 선진국보다 뒤쳐지는 것이 현실이다. 지난 5년간(2011-2016년) 도입한 신약 개수는 109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119개)보다 적은 상황이다. 급여 등재까지 소요되는 기간도 약 823일(2012-2018년 기준)로 회원국 평균(519일) 대비 300일 가량 더 긴 실정이다.
항암제만 따로 따져보더라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한국은 국가 전문의약품 비용 중 항암제 비율이 10.9% 수준이었고, 이 가운데 면역항암제가 차지하는 비중은 1.2%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호주 20.5%(면역항암제 비율 5%), 이탈리아 19.8%(3%), 영국 18.3%(2.6%), 일본 15.8%(2.8%), 미국 12.7%(2.7%) 등에 견줘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다.
강 교수는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선 정책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구체적으로 ▲신속허가제도의 유연한 적용 ▲보험등재 시 경제성 평가 척도인 ICER 임계값의 상향 조정 ▲항암제에 대한 새 가치평가 도구 도입(ESMO-MCBS/ ASCO-NHB) ▲건강보험 국고지원 비율 상향 조정 ▲건강보험 재정 효율화 방안 등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특히 암 환자를 위한 별도의 재원 마련을 고려해봄직한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는 해외사례를 참고한 제안이기도 하다. 현재 영국과 캐나다 일부지역(온타리오주)은 암 환자를 위한 별도의 기금을 운영하고 있다. 호주·스코틀랜드·벨기에·이탈리아·뉴질랜드 등에선 희귀질환자에 대해 비슷한 기금의 운영이 이뤄지고 있다.
강 교수는 일련의 정책결정 과정에서 사회경제적 가치를 고려할 것을 당부했다. 이와 관련, 사망률 1% 감소 시 국가가 누리는 사회경제적 비용절감 효과는 126조원에 이른다는 점을 조명했다.
한편, 국민의힘 이종성의원(보건복지위원회, 비례대표)은 최근 암환자 의료비 지원 등에 필요한 재원확보를 위해 암관리기금 설치 근거를 마련하는 암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