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뺑뺑이 개선…응급의료전달체계 구축 중점 고려"

정통령 신임 공공보건정책관 "국립대병원 이관 법 개정과 범정부 추진"  응급외상 의사인력 확보 고민 필요…"지방의료원 정상 운영 최대한 지원"

2023-12-18     이창진 기자

국립대병원 이관과 응급외상 그리고 지방의료원 등을 총괄하는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이 내실있는 공공의료 정책을 예고하고 나섰다.

복지부 정통령 신임 공공보건정책관은 13일 세종청사에서 전문기자협의회와 간담회를 가졌다.

보건복지부 정통령 신임 공공보건정책관은 지난 13일 세종청사에서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나 "조금 전부터 부서별 보고를 받기 시작했다. 공공의료 관련 굵직굵직한 정책을 보고 있는데 생각보다 큰 일이 많다"고 밝혔다.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1972년생)은 서울의대를 나온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보험급여과장과 질병관리청 감염병위기대응국장,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을 역임했다. 해외 파견과 질병관리청 근무 6년 만에 친정 복지부 세종청사로 출근을 시작한 것이다.

공공보건정책관은 질병정책과와 공공의료과, 응급의료과, 재난의료과, 생명윤리정책과, 혈액장기정책과 등 6개 부서를 담당한다.

정통령 정책관은 "공공의료 관련 오랫동안 묵혀진 과제가 많다. 사람 하나 바뀐다고 한순간에 돌파를 찾을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많은 고민을 하려고 공부하고 있다"고 자세를 낮췄다.

그는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추진과 관련, "복지부와 교육부 사이에서 옮기는 문제가 아니라 범정부 차원에서 국립대병원이 필수의료와 공공의료 중추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차원이다. 법 개정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립대병원 이관이 최대한 빨리 진행될수록 좋다. 국립대병원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의료시스템을 재정비하고 필수의료 체계와 연동된 정책 패키지로 움직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응급외상 핵심인 응급의학과과 외과 전공의 지원율 하락은 공공보건정책관 입장에서 달가운 소식이 아니다.

■NMC 새병원 예산 문제 완공까지 고민…"응급외상 의사 확충 많은 노력 필요"

정통령 정책관은 "너무 복잡한 문제이다. 어느 하나의 요소를 건드리는 것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건 아닌 것 같다. 세대가 변하고 사람들의 인식이 변하면서 가치관 변화가 기저에 깔려 있다. 응급과 외상 의사 인력 확보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보건부서 모두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할 부분"이라고 솔직한 심정을 피력했다.

정통령 정책관은 "최근 문제는 응급실도 적정 인력을 구하지 못해 힘든 부분이다. 소아 응급 등 인력난으로 거점병원이 필요한 환자를 적절하게 치료해주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생기는 부분을 우선적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해외 파견과 질병청 근무를 거쳐 6년만에 친정 복지부로 복귀했다.

그는 "소위 응급실 뺑뺑이 문제를 포함해 양질의 응급의료 서비스 제공과 병원에서 적절하게 지원받을 수 있는 응급의료전달체계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 중점적으로 고려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국립중앙의료원(NMC) 새병원 예산 축소 논란과 지방의료원 경영난도 간과할 수 없는 현안이다.

정통령 정책관은 "국립중앙의료원이 공공병원 네트워크 중요한 축으로 필수의료와 공공의료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와 감염병 전문병원 외에 복합 중증질환을 같이 진료할 수 있는 두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건립 규모와 역량, 지원 체계 부분을 계속해서 완공될 때까지 고민해 나가야 하는 부분이다. 그동안의 논의과정이 있고, 연장선상에서 저도 고민을 좀 더 해야 될 부분으로 공부하고 듣고 있는 중이다"라고 덧붙였다.

정통령 정책관은 지방의료원 경영 개선에 소신을 피력했다.

그는 "지방의료원이 코로나 사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 온 것을 잘 알고 있다. 지방의료원 어려움을 겪지 않고 정상적인 운영에 올라설 수 있도록 복지부가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을 최선을 다해 보려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질병관리청에 있을 때도 복지부와 연관된 업무가 있어 보긴 했지만 옆에서 보는 것과 실제 쟁점을 깊이 들여다보는 것은 다르다"면서 "섣부르게 이렇다라고 얘기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종합적으로 얘기를 듣고 검토한 후 공공의료 방향성을 체계적으로 잡아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촘촘한 업무파악 후 밀도 있는 정책 추진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