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보건연구원, 관련 연구 프로토콜 개발-예비 연구 추진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지털헬스케어 기기를 활용하면 어떤 효과를 얻을 수 있을까?
국립보건연구원은 올해부터 12개월동안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환자의 건강한 삶과 질병 악화 예방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디지털헬스케어 연구 프로토콜 개발 및 예방 연구'를 통해 디지털헬스케어 기기에서 측정되는 라이프로그 정보를 수집해 환자의 생활습관 교정 등의 근거 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디지털헬스케어 기술 적용의 최적 모델을 개발한다는 것. 이번 연구개발에 1억5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이번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질병 악화 예방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모바일 기기 활용에 대한 예비 연구(pilot study)이며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를 활용한 라이프로그 데이터 등 헬스케어 데이터 수집을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에서 수집된 변수를 통한 만성폐쇄성폐질환 악화 예측 가능성 분석 및 유의한 변수 목록을 추출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를 활용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모니터링 및 중재가 삶의 질 향상과 질환의 급성 악화 예방에 영향 분석이 진행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 및 방법을 보면 연구 프로토콜 사전 조사를 진행하게 된다. 만성폐쇄성폐질환 조절지표 측정 및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국내외 디지털 헬스케어·웨어러블 기기 동향 조사한 후 임상 검증을 위한 예비 중재연구 프로토콜 개발 및 시범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임상연구 방법 제시하게 된다. 전향적 중재 임상연구, 3개 기관 이상 다기관연구로 추진되며비교군의 경우 통상적인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치료, 중재군의 경우 통상치료+디지털 헬스케어 기기 접목한 치료,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연구 프로토콜을 활용하게 된다.
여기에 등록 기준도 마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약물치료중인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로 디지털 기기 사용이 가능한 70세 미만, 대상자 수 산정은 예를 들어 60명 이상, 환자의 추적 관찰을 위한 증례기록지 개발 등이 진행된다. 결과 분석을 통해 시범 연구를 통한 본 연구 추진을 위한 제안서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만성폐쇄성질환 환자 건강관리를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기기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며 디지털 헬스케어기기를 활용한 예후 개선과 삶의 질 향상 유도, 타 중재 연구에서 표준 프로토콜로 적용을 통해 활용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