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판권 위한 '통지의약품 키워드'...2020년-소화관-유럽
상태바
우판권 위한 '통지의약품 키워드'...2020년-소화관-유럽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2.11.16 06: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5년부터 2021년까지 누적 2773개 발생...통지대상 등재약 233건

신약의 특허기간중 제네릭을 개발하기 위해 해당 신약 특허권자에 이를 알리는 통지의약품은 그동안 발생했을까.

이명희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선임연구원이 15일 의약지식재산 정책포럼에서 밝힌 2015년부터 2021년까지의 현황을 보면 총 2773개의 통지의약품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허가신청 통지의약품을 보면 2015년 419개에서 2016년 306개, 2017년 288개로 줄었으며 2018년 366개, 2019년 476개, 2020년 508개로 가장 많았으며 2021년 410개였다.

같은기간 통지대상 등재의약품 수는 총 233건이었고 등재의약품당 통지의약품수는 1개당 61건으로 전체의 26.2%로 최고였으며 2개가 40건 17.2%, 3개가 18건으로 7.7% 순이었다. 

또 통지받은 등재약 233개의 성분 124개 대상 조사결과, 등재약 성분당 통지약수는 평균 22.4개, 최소 1개서 최대 127개였다. 

통지의약품수가 가장 많은 주성분은 에스오메프라졸마그네슘삼수화물 127개, 바레니클린타르타르산염 120개, 메트포르민염산염-테네리글립틴브롤화수소산염수화물 108개순이었다. 

다만 통지의약품수가 증가할수록 해당하는 성분의 개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통지의약품수가 9개 이상인 경우 주성분수가 62개로 50%였다는 것을 고려할 대 특정 성분에 통지가 집중됐다. 

ATC코드별 통지의약품 수가 가장 많은 분류는 소화관 및 대사가 1147건, 신경계 379건, 혈액 및 조혈기관 366건 순이었다.

같은기간 국적별로는 유럽이 1253개로 전체의 45.2%로 최다였으며 일본 604개로 21.2%, 한국 527개로 19%, 미국 364개로 13.1% 순이었다. 여기서 한국은 2015년 68개서 2019년 111개, 2021년 167개로 증가세를 그리고 있었다. 

통지방은 등재의약품 특허권자의 국적은 유럽이 115개로 49.3%, 일본 50개 21.5%, 미국 43개로 18.5%, 한국 24개 10.3% 순이었다.

한편 통지의약품만이 우선판매품목허가를 받을 수 있는 적용 대상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